뉴스팍 배상미 기자 | 김진경 경기도의회 의장이 2025년 신년사를 통해 1,410만 경기도민에게 희망찬 새해를 기원하고, 도민과 함께 어려움을 극복하고 미래를 향해 나아가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김 의장은 새로운 변화를 위한 각오, 2025년을 '푸른 뱀의 해'로 비유하며, 어려운 시기를 지혜롭게 극복하고 새로운 변화를 이끌어내야 한다고 의지를 표명했다. 지금 우리에게는 현명함과 지혜, 그리고 미래를 향한 변화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히 요구되며, 12·3 비상계엄으로 촉발된 탄핵 정국으로 맞은 어려운 시기를 지혜롭게 넘어 새로운 희망을 향해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김 의장은 '도민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함께 고민하는 도민 중심의 의정을 펼칠 것'이며, 도민의 저력을 믿고, 민생 문제 해결에 집중하며 '일하는 민생의회' 를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아울러 2025년은 제11대 경기도의회가 약속드린 변화들이 구체적으로 실현되는 결실의 해가 될 것이며, 임기 반환점을 돌아 매듭을 향해 나아가는 지금이, 가장 큰 성과로 도민들께 보답할 때라고 목소리 높였다. ‘운외창천(雲外蒼天)'이라는 말처럼 아무리 짙은 구름이 가려도 그 너머에는 항상 푸른 하늘이 있다. 김
뉴스팍 배상미 기자 | 화성시의회 배정수 의장은 2024년 송년사를 통해 한 해 동안의 의정 활동을 돌아보고, 다가올 특례시 시대를 맞이하여 시민과 함께 성장해 나갈 것을 다짐했다. 배 의장은 2024년이 특례시 출범을 위한 중요한 시기였음을 강조하며, 제9대 후반기 원 구성, 특례시의회 연구 활동, 3조 5천억 원 규모의 본예산 심사 등 다양한 성과를 이루었다고 밝혔다. 아울러 지방의회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국민적 이해 부족과 제도적 한계를 지적하며, 시민들의 자치 역량을 제대로 발휘 할 수 없는 제도적 한계로 시민들이 바라는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더욱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 의장은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끝없이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여 설명했다. 또한 “사막을 건너는 것은 용맹한 사자가 아니라 우직한 낙타”라는 비유를 통해 민생과 민의를 중심으로 한 걸음씩 나아가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배정수 의장은 "화성시의회는 앞으로도 풀뿌리 민주주의의 주체로서 시민의 복지증진과 의정 발전을 위한 소임을 성실히 수행할 것"이며, "특례시라는 새로운 환경의 정착과 함께 실천 과제를 모색하여, 경쟁력 있는 화성특례시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다음은 화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