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팍 배상미 기자 | 경기도가 총 39조 9,046억 원 규모의 2026년도 본예산을 편성하며, '사람 중심 기술혁신, 미래로 가는 경기도' 실현을 위한 담대한 재정 운용에 나선다. 이는 전년 대비 1조 1,825억 원(3.1%) 증가한 규모로, 불안정한 경제 상황 속에서도 경기 회복과 도민 체감형 변화를 이끌겠다는 강한 의지를 담고 있다.
세입 여건 둔화와 필수 지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경기도는 재정의 본래 역할인 민생과 미래 지탱에 주력하며 적극적인 재정 역할을 수행할 방침이다. 특히, 지출 구조 개선과 재정 투자 효율성 제고를 통해 성과 중심의 재정체계를 확립하고 한정된 재원을 전략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경기도는 2026년도 도정 핵심 추진 분야를 민생경제 회복, 미래성장, 돌봄·안전, 지역개발과 균형발전 네 가지 축으로 설정하고 예산을 집중 투입한다.
1. 민생경제 회복 (총 8,900억 원 이상 투입)
고물가·고금리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지원에 1,194억 원을 투입한다. 전통시장 현대화, 특례보증 손실보전, 영세 소상공인 지원 외에도 '힘내GO카드', '경기 살리기 통큰세일', '농수산물 할인쿠폰' 등을 통해 지역 상권 활력 회복과 소비 촉진을 유도한다.
또한, 교통 복지 강화를 위해 7,706억 원을 투입하여 도민의 이동권을 확대한다. 시내·광역버스 공공관리제, THE 경기패스, 어린이·청소년 및 어르신 교통비 지원 등을 통해 '이동의 평등권'이 보장되는 경기도를 만들겠다는 목표다.
2. 미래성장 (총 1,382억 원 투입)
기술혁신과 산업전환의 중심지로 도약하기 위해 반도체, AI, 로봇, 기후테크 등 첨단산업 경쟁력 강화에 1,382억 원을 투자한다. 구체적으로는 반도체 전문인력 양성, AI 혁신 클러스터 조성, 기후테크 스타트업 육성, 로봇산업 생태계 확장 등에 집중하여 미래산업 기반을 다진다.
특히, AI와 첨단기술을 공공의료 혁신, 생활 속 AI 활용, 디지털 지역경제 기반 조성 등 도민의 일상으로 확산시켜 기술이 삶의 변화를 이끄는 '사람 중심의 가치'와 '산업 혁신'이 조화를 이루는 지속 가능한 모델을 구축할 계획이다. 대·중소기업 상생형 주 4.5일제와 주민 참여형 RE100 소득마을 조성 사업도 추진된다.
3. 돌봄과 안전 (총 1조 3,927억 원 투자)
돌봄의 공백 해소와 생활안전망 구축에 총 1조 3,927억 원을 투자한다.
돌봄 서비스 강화 (9,636억 원): 360도 돌봄사업, 영유아 무상보육, 누리과정 지원, 장애인 맞춤 돌봄 확대 등 안전 기반 구축 (3,624억 원): 재해예방사업, 풍수해·지진보험, 지방하천 정비 등에 집중 투자하여 기후위기 및 재난 상황에 대비한 사전 예방 중심의 안전 시스템을 구축한다.
4. 지역개발과 균형발전 (총 6,560억 원 투자)
지역 간 격차 해소와 균형 발전을 위해 광역철도, 국지도 확포장, 도시숲·도서관·주차장 등 생활 SOC 확충을 포함한 지역개발 사업에 6,560억 원을 투자한다. 지역의 잠재력을 살리고 삶의 질과 지역 경쟁력을 동시에 높이는 지속가능한 발전 기반을 마련할 방침이다.
경기도는 "2026년 예산은 도민의 삶을 바꾸는 실행의 약속이자, 경기도의 미래를 설계하는 실천의 지도"라며, 미래를 향한 혁신과 오늘의 민생 안정을 모두 지켜나가는 "미래로 가는 경기도"를 실현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