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팍 배상미 기자 | 박승원 광명시장이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해법으로 '지방정부 중심의 기후 분권'과 '중앙-지역 간의 강력한 협력'을 제시했다.
박 시장은 지난 24일 서울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열린 '중앙-지역 협력 기반의 기후위기 대응 및 지방분권 정책 간담회'에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국회 기후위기특별위원회 위원들과 기후위기 대응·에너지전환 지방정부협의회 회원도시 단체장들이 모여 실질적인 기후 정책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박 시장은 "기후위기는 환경 문제를 넘어 시민의 생명, 안전, 주거와 직결된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급한 과제"라고 규정하며, "대응의 실질적인 실행력은 현장에 있는 지방정부에서 나온다"고 강조했다.
특히 박 시장은 중앙정부 위주의 하향식 정책의 한계를 지적하며, 지방정부가 지역 특성에 맞는 선도적인 탄소중립 정책을 펼칠 수 있도록 ▲재정 지원 확대 ▲권한 이양 ▲인력 확충 등 구체적인 '기후 분권'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국민주권정부 공약과 연계한 기후위기 대응 정책'을 공유하고, 지방정부의 구체적인 정책 제안을 담은 공동선언문을 채택했다. 이를 통해 중앙과 지역이 기후위기 극복을 위해 원팀(One-team)으로 협력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다졌다.
박 시장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서도 "광명시를 비롯한 지방정부의 선도적인 정책 제안과 현장 중심의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광명시가 앞장서서 중앙과 지역의 성공적인 협력 모델을 만들어가겠다"고 약속했다.
실제로 광명시는 '1.5℃ 기후의병' 운동, 탄소중립 도시 선포 등 시민 참여형 기후 정책을 전국적으로 확산시키며 '탄소중립 선도 도시'로서의 입지를 굳히고 있다.
박 시장은 "시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가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드는 원동력"이라며 시민들의 적극적인 동참을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