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팍 배상미 기자 | 정부가 내년부터 지역화폐, 사회적기업, 탄소중립 분야에 재정을 투입하는 지방자치단체에 지방교부세 지원을 강화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대해 박승원 광명시장은 “광명시가 그동안 꾸준히 추진해 온 핵심 정책들이 옳았음이 증명됐다”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10월 31일 ‘2026년도 보통교부세 개선방안’을 확정·발표했다. 이번 개선안의 핵심은 지방정부의 지역화폐 발행 비용을 교부세 산정에 반영하고, 사회연대경제 및 탄소중립·신재생에너지 분야에 대한 재정 지원 수요를 신설하거나 보강하는 것이다. 이는 그동안 현금성 복지 지출에 페널티를 주던 기조를 폐지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와 기후 대응에 앞장서는 지자체에 더 많은 교부세를 지원하겠다는 정부의 의지로 풀이된다.
박승원 시장은 페이스북을 통해 “광명시는 다른 어느 지방정부보다 이들 분야에 선도적인 정책을 펼쳐왔고 재정을 집중 투자해 왔다”며 이번 정부 발표가 광명시의 정책 기조와 맥을 같이 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실제로 광명시는 ‘지역화폐(광명사랑화폐)’ 활성화에 행정력을 집중해왔다. 고물가와 경기 침체 상황에서도 민생 회복 지원금을 지역화폐로 신속히 지급하는 한편, 꾸준한 인센티브 정책을 통해 골목상권의 버팀목 역할을 해왔다. 특히 시는 내년부터 지역화폐 정책을 더욱 고도화할 방침이다.
박 시장은 “내년에는 기존의 도서 구입 및 공정무역 거래에 더해, 가정의 달 외식비 지출에도 캐시백을 제공하는 제도를 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모바일·카드형에 이어 지류형(종이) 지역화폐까지 발행해 디지털 소외 계층의 접근성을 높이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극대화한다는 계획이다.
‘사회적 경제’ 분야에서도 광명시의 행보는 독보적이다. 시는 단순한 기업 지원을 넘어, 지역 자산화를 통한 사회연대경제 생태계 조성에 주력해왔다. 이러한 노력은 최근 고용노동부 주관 ‘2025년 사회적경제 정책평가’에서 대상을 수상하며 대외적으로도 인정받은 바 있다. 시는 사회적 경제 조직이 지역 내에서 자산을 형성하고, 그 이익이 다시 지역사회로 환원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데 집중하고 있다.
‘탄소중립’ 역시 광명시정의 핵심 축이다. 광명시는 예산이 온실가스 감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예산 편성에 반영하는 ‘온실가스감축인지 예산제’를 선도적으로 도입해 운영 중이다. 또한 전 부서가 탄소중립 이행 과제 목표를 설정하고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시스템을 갖췄으며, 시민 주도의 ‘1.5℃ 기후의병’ 활동을 통해 민관이 함께하는 기후 대응 모델을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박 시장은 “이번 지방교부세 개선방안 발표는 시대를 변화시키기 위한 시민주권도시 광명시의 선도 정책이 옳았음을 확인해 준 계기”라며, “내년에도 지역경제 회복과 성장, 지역공동체 연대, 그리고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한층 더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