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팍 배상미 기자 | 세계적인 석학들과 경기도지사가 한자리에 모인 '2025 DMZ OPEN 에코피스포럼'이 3일 개막, DMZ(비무장지대)의 생태·평화 가치를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모색하는 공론의 장을 열었다.
경기도는 이날 소노캄 고양 그랜드볼룸에서 '더 큰 평화 – DMZ에서 시작하는 미래 길 찾기'를 주제로 '2025 DMZ OPEN 에코피스포럼' 개회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포럼에서는 마이클 샌델 하버드대 교수,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 그리고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핵심 연사로 나서 주목받았다.
이날 세 사람은 '평화·정의·생태·세대의 관점에서 본 DMZ의 미래'를 주제로 자유 토론을 진행하며 대한민국 청년 세대의 정의감에 큰 관심을 표했다.
마이클 샌델 교수는 기조 세션에서 '세대 간 정의와 공동선의 관점에서 본 평화'를 강연하며, 기후·생태 위기 시대의 세대 간 책임 윤리를 강조했다. 샌델 교수는 "청년들이 새로운 생태 윤리를 구축하는 희망의 씨앗이 될 수 있다"며 이들을 끊임없이 자극하고 독려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
김동연 지사는 개회사를 통해 "오늘 우리는 DMZ가 회복한 평화의 가치를 인간의 세계로 이어가기 위해 모였다"며, "인간과 자연, 세대와 세대가 조화를 이루며 지속가능한 세계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젊은 세대로 인해 환경 문제나 DMZ 문제, 정의 문제가 즐거운 마음으로 기쁘게 하는 단계가 만들어질 것"이라며, 정치인의 역할은 그 여건을 만들어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도는 이번 포럼을 통해 지난 3년간 이어온 '더 큰 평화' 담론을 마무리하고, DMZ를 평화·생태·세대 정의가 만나는 미래 공간으로 공식 재정의했다.
이번 포럼은 5일까지 이어지며, 국내외 전문가, 청년, 시민단체가 참여해 DMZ의 생태적 보전과 한반도의 지속가능한 평화 실천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경기도는 이 논의를 바탕으로 평화를 설계하고 실천하는 '열린 DMZ(OPEN DMZ)'의 비전을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