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팍 배상미 기자 | 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 연구진이 수행한 'Effectiveness of Breathing Exercises and Stabilization Techniques on Patients with COVID-19: Quasi-Experimental Study'가 국제학술지 Journal of Clinical Medicine(JCM, IF 4.7)에 게재됐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확진 후 산소포화도 저하 또는 산소치료를 받은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호흡운동 및 안정화기법이 신체적·정신적 회복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연구이다.
안성병원 내 격리병동에 입원한 환자 39명 중 20명은 호흡운동·안정화기법을 시행받았고, 19명은 일반치료만을 받았다. 연구팀은 코로나19 입원환자들에게 2주간 하루 60분씩 호흡운동 프로그램을 시행했다.
이 프로그램은 복식호흡, 입술을 오므리고 천천히 내쉬는 호흡, 일정한 박자에 맞춰 들숨과 날숨을 조절하는 사각호흡, 기침을 유도해 가래를 배출하는 허프기침, 그리고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는 점진적 근육이완운동으로 구성됐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환자들은 숨이 차는 증상이 눈에 띄게 줄어들었으며, 기침과 가래 등 호흡기 증상이 완화되고, 불안감과 우울감이 뚜렷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퇴원 후 6개월이 지나면서 이러한 효과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단기적인 회복에는 효과적이지만 장기적인 유지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재활과 관리가 필요함이 확인됐다.
연구를 총괄한 고진영 공공보건의료사업실장은 “코로나19 환자의 회복은 약물치료뿐 아니라 호흡과 근육 안정화 훈련을 병행할 때 심리적 안정을 돕고 회복 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퇴원 후 지역사회와 연계한 지속적인 재활 및 심리관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은 평택진료권 지역책임의료기관으로서 ‘공공보건의료 협력체계 구축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의료의 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연구 활동을 꾸준히 추진하고 있다.














